맨위로가기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는 2003년부터 2016년까지 21번의 대회가 개최된 팀 단위 e스포츠 리그이다. 2012년 스타크래프트 II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브루드 워와 병행되다가, 2012-2013 시즌부터 스타크래프트 II로만 진행되었다. 프로리그는 양대 리그 시대, 통합 리그 시대, 스타크래프트 II 전환 시대를 거쳤으며, 2016년 스폰서십 문제, 팀 수 감소, 승부 조작 사건 등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는 군단의 심장으로 진행된 한국 프로리그로, 중계사 변경, 팀 해체 및 합류 등의 변화 속에서 KT 롤스터가 우승, CJ 엔투스와 진에어 그린윙스가 공동 3위를 기록했다.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진에어 그린윙스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1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20년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대회 - GOM 클래식
    GOM 클래식은 곰TV가 주최하여 XNOTE-인텔센트리노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을 시작으로 TG삼보, 인텔, 위메프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 시리즈이며, 각 시즌마다 다양한 맵이 사용되었고 목동 스튜디오에서 결승전이 개최되기도 하였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대회 - 카트라이더 리그
    카트라이더 리그는 넥슨의 레이싱 게임 카트라이더를 기반으로 2005년부터 시작된 e스포츠 대회이며, 팀전과 개인전으로 진행되고 문호준, 이재혁 등 많은 우승자를 배출했다.
  • 2016년 폐지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2016년 폐지 - 원미구
    원미구는 1993년 설치되어 2016년 폐지되었다가 2024년 재설치된 경기도 부천시의 옛 행정 구역으로,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9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도서관, 경찰서, 문화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리그 정보
종목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2003년 3월 ~ 2012년 9월)
스타크래프트 II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2012년 5월 ~ 2013년 3월)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2013년 4월 ~ 2015년 10월)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2016년 2월 ~ 2016년 10월)
주관한국e스포츠협회
설립 연도2003년
리그 개시2003년 3월 1일 (2005년 5월부터 2011년 8월까지는 통합 리그로 진행됨.)
리그 폐지2016년 10월 18일
참가팀 수7팀
최근 우승팀진에어 그린윙스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최다 우승팀SK텔레콤 T1 (통산 7회 우승)
웹사이트프로리그 2016
일반 정보
스포츠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창립2003년
해체2016년
국가대한민국
대륙아시아
최근 우승팀진에어 그린윙스
최다 우승팀SK텔레콤 T1
웹사이트Proleague Official Page (Korean)
기타 정보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로고
설명2003–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리그

2. 역사

2003년 MBC게임과 온게임넷이 각각 팀 리그를 개최하면서 프로리그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양대 리그 체제로 운영되다가, 2005년 KeSPA의 주도로 통합 리그가 출범했다.

2008년부터는 연간 단위의 장기 리그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2009년-2010년 시즌에는 라운드 로빈 방식과 플레이오프를 결합한 현대적인 프로리그 형식이 확립되었다.

2010년 스타크래프트 II 출시 이후,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와 KeSPA 간의 지적 재산권 분쟁이 발생했으나, 2011년에 해결되었다.[3][4] 2011년-2012년 시즌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를 병행하는 과도기였다. 2012년 MBC 게임이 폐쇄되면서 SPOTVGames가 온게임넷과 함께 프로리그를 중계하게 되었다.[1]

2012년-2013년 시즌부터는 스타크래프트 II로 완전히 전환되었으며, 팀 리퀴드와 Evil Geniuses의 연합팀인 EG-TL이 참여하기도 했다. 2013년-2014년 시즌부터는 SPOTVGames가 단독 중계하게 되었다.[7]

KeSPA는 2016년 10월 18일, 스폰서십 문제, 프로 팀 수 감소, 승부 조작 스캔들 등을 이유로 프로리그 중단을 발표했다.[8]

2. 1. 양대 리그 시대 (2003년 ~ 2004년)

2002년부터 팀 중심으로 뭉친 상태에서 팀 간 리그가 필요한 상태였다. MBC게임은 온게임넷보다 빨리 팀리그 개막을 위한 다양한 시장 조사와 실험을 시작했으며, 한 달 빠른 2003년 2월 4일 팀리그가 개막했다.[1] 온게임넷도 팀 간 리그를 진행하기로 기획하고, 2003년 3월 1일 KTF 매직엔스와 AMD 드림팀의 개막전으로 프로리그 역사의 장대한 막을 열었다.

MBC 게임은 2003년에 첫 번째 주요 팀 리그를 개최했다.[1]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 팀결승 결과준우승 팀
20032003 케몽사 KPGA 투어 팀 리그슈마 GO3–1STX SouL
20032003 라이프존 KPGA 팀 리그슈마 GO3–2한빛 스타즈
2003–20042003–2004 LG IBM MBC 팀 리그SK텔레콤 T13–2KTF 매직엔스
20042004 투싼 MBC 게임 팀 리그 ISK텔레콤 T14–3슈마 GO
20042004 투싼 MBC 게임 팀 리그 IISK텔레콤 T14–3슈마 GO
2004–20052004–2005 MBC Movies MBC 게임 팀 리그슈마 GO3–2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또한 2003년과 2004년에 자체 팀 대회를 개최했다.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 팀결승 결과준우승 팀
20032003 KTF EVER 컵SK텔레콤 T13–0웅진 스타즈
20032003 네오위즈 피망 컵슈마 GO3–0판택 EX
20042004 SKY 프로리그 그랜드 파이널한빛 스타즈4–2판택 & 큐리텔 큐리어스


2. 2. 통합 리그 시대 (2005년 ~ 2011년)

2005년, KeSPA는 온게임넷과 MBC게임 양대 방송사의 팀 리그를 통합하여 프로리그를 출범시켰다.[1] SK텔레콤 T1은 통합 리그 첫 두 라운드와 최종 결승전에서 모두 우승하며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 프로리그는 5전 3선승제 또는 7전 4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2008년에는 2대2 경기가 폐지되고 1대1 경기만 남게 되었다.[2]

2008년 시즌부터는 한 해 동안 장기간 진행되는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2009년-2010년 시즌에는 팀들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4~5라운드 대결을 펼치는 현대적인 프로리그 형식이 만들어졌다. 시즌 종료 후, 상위 팀들은 단판 승부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를 통해 챔피언을 결정했다.

프로리그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연도대회명우승팀결승전 결과준우승팀
2005SKY 프로리그 그랜드 파이널SK텔레콤 T14–2KTF 매직엔스
2006SKY 프로리그 그랜드 파이널MBC게임 히어로4–3팬택 EX
20072007 신한 프로리그 그랜드 파이널르까프 OZ4–2삼성전자 칸
2008신한은행 프로리그삼성전자 칸4–1하이트 스파키즈
2008–2009신한은행 프로리그SK텔레콤 T12–0화승 OZ
2009–2010신한은행 프로리그KT 롤스터4–2SK텔레콤 T1
2010–2011신한은행 프로리그KT 롤스터4–3SK텔레콤 T1
2011–2012SK Planet 프로리그 시즌 1SK텔레콤 T14–3KT 롤스터


2. 3. 스타크래프트 II 전환 시대 (2012년 ~ 2016년)

2010년 스타크래프트 II가 출시되기 전,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스타크래프트 게임 방송에 대한 지적 재산권 문제로 KeSPA와 분쟁을 벌였다.[3] KeSPA에 압박이 가해졌고, 2011년에 이 사건은 e스포츠 해설자가 이 사건이 스타크래프트 II로 방송 시장을 확장하기 위한 시도였다고 언급하면서 해결되었다.[4]

2011-2012 프로리그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를 모두 사용하면서 리그의 과도기적인 시즌이 되었다. 각 경기는 브루드 워와 자유의 날개를 번갈아 가며 진행되었고, 각 선수들은 두 게임 모두에 대비해야 했다.[5] 2012년 MBC 게임이 폐쇄된 후, SPOTVGames는 온게임넷과 함께 프로리그를 방송했다.[1]

잠실 학생체육관에서 열린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 결승전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환되기 전, 2012 SK Planet 프로리그 시즌 2 리그는 두 게임을 모두 포함했다.

연도토너먼트 명칭우승팀결승전 결과준우승팀
2012SK Planet 프로리그 시즌 2CJ 엔투스2–0삼성 KHAN



스타크래프트 II로의 완전한 전환은 2012-2013 시즌에 이루어졌으며, 팀 리퀴드와 Evil Geniuses의 파트너십인 EG-TL이 참여하여 프로리그에서 활동하는 최초의 비한국 팀이 되었다.[6] EG-TL은 프로리그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다음 시즌에 리그에서 철수했다. 온게임넷은 2013-2014 시즌부터 프로리그 방송을 중단했고, SPOTVGames가 리그의 유일한 방송사가 되었다.[7]

KeSPA는 2016년 10월 18일, 스폰서십 문제, 프로 팀 수 감소, 승부 조작 스캔들을 이유로 프로리그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8]

3. 리그 방식

프로리그는 여러 해 동안 다양한 경기 방식을 채택해왔다. 초창기에는 풀리그, 양대리그 풀리그, 전/후기 풀리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08년부터는 위너스리그가 도입되어 풀리그와 함께 진행되기도 했다.

다음은 프로리그의 연도별 스폰서, 참가팀, 라운드별 경기 방식 등을 나타낸 표이다.

연도스폰서참가팀1Round2Round3Round4Round5Round6Round
2003KTF EVER컵8→64풀리그X
Neowiz Pmang컵8→44
2004SKY11→105풀리그양대리그 풀리그1X
2005전, 후기 풀리그2
200611전, 후기 풀리그
2007신한은행12전, 후기 풀리그3
2008
08-09풀리그위너스리그풀리그X
09-10
10-1110위너스리그풀리그
2011SK플래닛8풀리그
11-12풀리그X
12-13풀리그위너스리그풀리그위너스리그풀리그
2014SK텔레콤8풀리그x
2015SK텔레콤8풀리그x
2016SK텔레콤7풀리그x




  • 1 양대리그로 치러져, 2번 턴하였다.
  • 2 후기리그만 2번 턴하였다.
  • 3 2번 턴하였으며, 2008년은 후기리그를 치르지 않았다.
  • 4 8팀이 풀리그를 치렀다가, 2Round에서 팀을 축소하였다.
  • 5 1Round, 전기리그에서 최하위팀은 시즌 참가를 못하였다.



2012년에는 8개 팀이 참가하여 단일리그 방식으로 팀당 21경기, 총 84경기를 치렀다. 1경기당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2012-2013 시즌부터 프로리그는 스타크래프트 II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3. 1. 기본 방식

초기 프로리그는 5전 3선승제 또는 7전 4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1대1 경기와 2대2 경기가 번갈아 가며 진행되었다. 2008년부터는 2대2 경기가 없어지고 1대1 경기만으로 진행되었다. 정규 시즌은 여러 라운드에 걸쳐 팀들이 서로 겨루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시즌이 끝난 후에는 상위 팀들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정규시즌 종료 후에는 승률, 다승, 득실차 순으로 순위를 정하고, 상위 4개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4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는 한 경기장에서 진행되었고, 정규시즌 1위 팀과 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결승전에서 맞붙었다. 최종 순위는 우승 팀, 준우승 팀, 플레이오프 패배 팀, 준플레이오프 패배 팀, 포스트시즌 탈락 팀 순서로 결정되었다.

3. 2. 위너스리그

위너스리그는 2003년 MBC게임 팀리그에서 시작되어 2005년 프로리그로 통합되었다가,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 3라운드부터 다시 도입되었다. 승자연전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에는 3, 4라운드로 기간이 늘어났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시즌 2, 5라운드에서도 위너스리그가 진행되었다.

3. 3. KeSPA 드림리그

KeSPA 드림리그는 프로리그 2군 리그로, 공군 ACE를 제외한 7개 팀이 참가했다. 경기 방식은 9전 5선승제였으며, 처음 5경기는 동시에 진행된 후 팀 배틀 방식(승자연전방식)으로 4경기가 추가 진행되었다. 로스터 유효 기간은 프로리그 1군 로스터 유효 기간과 동일했다. 경기는 용산 e스포츠 보조경기장에서 펼쳐졌다.

3. 4. 프로리그 MVP

팀 승리에 결정적으로 공헌하거나 뛰어난 플레이를 보여준 선수를 대상으로, 현장 팬투표와 e스포츠 기자단 투표, 협회 홈페이지 팬투표를 합산하여 MVP를 선정했다.[1]

  • Daily MVP : 경기 직후, 현장 팬투표, 기자단 투표, 온라인 투표하여 선수를 뽑는다. 선정된 선수는 Weekly MVP 후보가 된다.[1]
  • Weekly MVP : 한 주를 마감하여 Daily MVP가 된 선수가 후보가 되어 Weekly 투표를 진행한다. Weekly에 선정되면 그 선수에게 10만의 상금과 실버베지가 수여된다.[1]
  • 라운드 MVP : 각 라운드 종료 후 5일 동안 네이트 e스포츠 홈페이지에서 라운드 MVP 투표를 실시한다. 선정된 선수는 100만의 상금과 골드 메달이 수여된다.[1]

3. 5. 프로리그 올스타전

프로리그 정규 시즌 및 포스트 시즌이 모두 끝난 후에 치러지는 이벤트 경기이다. 팬 투표와 감독 추천으로 선발된 선수들이 도전팀과 열정팀으로 나뉘어 경기를 펼쳤다. 경기는 6전제로 진행되었으며, 정규 시즌 맵을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올스타전 종료 후에는 MVP를 선발하였다. 종족별 투표를 통해 선수들을 선발했다.

4. 참가 프로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는 다양한 프로게임단이 참가했다.

팀 이름역대 팀 이름창단일 / 변경일해체일
웅진 스타즈SM, 한빛 스타즈 (2001년 5월), 웅진 스타즈 (2008년 9월 19일)1999년 11월2013년 12월 13일
KT 롤스터ⓝ016 온라인 프로게임단, KTF 매직엔스 (2001년 3월 21일), KT 매직엔스 (2009년 6월 1일), KT 핑거붐 (2009년 7월 31일), KT 롤스터 (2009년 8월 25일)1999년 12월 30일2016년 10월 19일[9]
삼성 갤럭시삼성전자 칸, 삼성 갤럭시 (2013년 9월 7일)2000년 6월 9일2016년 10월 19일[9]
STX SouLSouL, STX SouL (2006년 4월 24일), SouL (2013년 9월 1일)2000년 7월2013년 12월 13일
하이트 스파키즈KOR, 온게임넷 스파키즈 (2006년 6월 24일), 하이트 스파키즈 (2009년 4월 6일)2000년 10월2010년 10월 12일
CJ 엔투스프로슈머, 게임아이 이노츠 (2001년 9월), GO (2002년 4월), 슈마 GO (2003년 9월 1일), GO (2004년 9월 1일), CJ 프로게임단 (2006년 4월 11일), CJ 엔투스 (2006년 6월 12일), 하이트 엔투스 (2010년 10월 12일), CJ 엔투스 (2011년 5월 8일)2001년2016년 10월 19일[9]
이스트로AMD 드림팀, 헥사트론 드림팀 (2004년 2월), 이네이쳐 탑 (2005년 3월), 이스트로 (2006년 10월 10일)2002년 1월2010년 10월 13일
화승 OZIS, KTEC Plus (2003년 7월 15일), Plus (2004년 1월 25일), 르까프 OZ (2006년 3월 23일), 화승 OZ (2009년 1월 31일)2002년 1월2011년 8월 31일
MBC게임 히어로POS, 이고시스 POS (2004년 11월 5일), POS (2005년 12월 19일), MBC게임 히어로 (2006년 3월 30일)2002년 8월 15일2011년 8월 31일
위메이드 폭스SG 패밀리, 투나 주디스/투나 SG (2003년 8월 11일), SG 패밀리 (2004년 6월 16일),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2004년 8월 2일), 팬택 EX (2006년 4월 24일), 위메이드 EX (2007년 7월 31일), 위메이드 폭스 (2007년 9월 2일)2003년 6월2011년 8월 22일
SK텔레콤 T1동양 오리온, 4U (2003년 12월 22일), SK텔레콤 T1 (2004년 4월 13일)2002년 11월 28일2016년 10월 19일[9]
공군 ACE-2007년 4월 3일2012년 10월 31일
진에어 그린윙스제8프로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2013년 7월 10일)2011년 11월 4일2020년 11월 30일
IMIM, LG-IM (2012년 4월 26일), IM (2013년 8월 8일)2010년 10월 1일2014년 7월 31일
프라임프라임2010년 8월 4일2015년 12월 2일
MVPMVP2010년 10월 26일2016년 10월 19일[9]
아프리카 프릭스스타테일, 스베누 (2015년 4월 28일), 아프리카 프릭스 (2016년 1월 23일)2010년 9월 14일2016년 11월 21일[9]



2016년 마지막 시즌에는 CJ 엔투스, 진에어 그린윙스, KT 롤스터, MVP, 삼성 갤럭시, 아프리카 프릭스, SK텔레콤 T1 7개 팀이 참가했다.[9]

4. 1. 주요 참가팀

팀 이름역대 팀 이름창단일 / 변경일해체일
웅진 스타즈SM1999년 11월2013년 12월 13일
한빛 스타즈2001년 5월
웅진 스타즈2008년 9월 19일
KT 롤스터ⓝ016 온라인 프로게임단1999년 12월 30일2016년 10월 19일[9]
KTF 매직엔스2001년 3월 21일
KT 매직엔스2009년 6월 1일
KT 핑거붐2009년 7월 31일
KT 롤스터2009년 8월 25일
삼성 갤럭시삼성전자 칸2000년 6월 9일2016년 10월 19일[9]
삼성 갤럭시2013년 9월 7일
STX SouLSouL2000년 7월2013년 12월 13일
STX SouL2006년 4월 24일
SouL2013년 9월 1일
하이트 스파키즈KOR2000년 10월2010년 10월 12일
온게임넷 스파키즈2006년 6월 24일
하이트 스파키즈2009년 4월 6일
CJ 엔투스프로슈머2001년2016년 10월 19일[9]
게임아이 이노츠2001년 9월
GO2002년 4월
슈마 GO2003년 9월 1일
GO2004년 9월 1일
CJ 프로게임단2006년 4월 11일
CJ 엔투스2006년 6월 12일
하이트 엔투스2010년 10월 12일
CJ 엔투스2011년 5월 8일
이스트로AMD 드림팀2002년 1월2010년 10월 13일
헥사트론 드림팀2004년 2월
이네이쳐 탑2005년 3월
이스트로2006년 10월 10일
화승 OZIS2002년 1월2011년 8월 31일
KTEC Plus2003년 7월 15일
Plus2004년 1월 25일
르까프 OZ2006년 3월 23일
화승 OZ2009년 1월 31일
MBC게임 히어로POS2002년 8월 15일2011년 8월 31일
이고시스 POS2004년 11월 5일
POS2005년 12월 19일
MBC게임 히어로2006년 3월 30일
위메이드 폭스SG 패밀리2003년 6월2011년 8월 22일
투나 주디스2003년 8월 11일
투나 SG2003년 8월 11일
SG 패밀리2004년 6월 16일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2004년 8월 2일
팬택 EX2006년 4월 24일
위메이드 EX2007년 7월 31일
위메이드 폭스2007년 9월 2일
SK텔레콤 T1동양 오리온2002년 11월 28일2016년 10월 19일[9]
4U2003년 12월 22일
SK텔레콤 T12004년 4월 13일
공군 ACE-2007년 4월 3일2012년 10월 31일
진에어 그린윙스제8프로게임단2011년 11월 4일2020년 11월 30일
진에어 그린윙스2013년 7월 10일
IMIM2010년 10월 1일2014년 7월 31일
LG-IM2012년 4월 26일
IM2013년 8월 8일
프라임프라임2010년 8월 4일2015년 12월 2일
MVPMVP2010년 10월 26일2016년 10월 19일[9]
아프리카 프릭스스타테일2010년 9월 14일2016년 11월 21일[9]
스베누2015년 4월 28일
아프리카 프릭스2016년 1월 23일


4. 2. 해체된 팀

팀 이름창단일해체일비고
웅진 스타즈1999년 11월2013년 12월 13일SM으로 창단, 이후 한빛 스타즈(2001년 5월), 웅진 스타즈(2008년 9월 19일)로 변경[1]
STX SouL2000년 7월2013년 12월 13일SouL로 창단, 2006년 4월 24일 STX SouL로 변경. STX 운영 포기 후 2013년 9월 1일 한국e스포츠협회에서 e스포츠연맹으로 소속 변경[1]
하이트 스파키즈2000년 10월2010년 10월 12일KOR로 창단, 이후 온게임넷 스파키즈(2006년 6월 24일), 하이트 스파키즈(2009년 4월 6일)로 변경 후 CJ 엔투스와 합병[1]
이스트로2002년 1월2010년 10월 13일AMD 드림팀으로 창단, 이후 헥사트론 드림팀(2004년 2월), 이네이쳐 탑(2005년 3월), 이스트로(2006년 10월 10일)로 변경[1]
화승 OZ2002년 1월2011년 8월 31일IS로 창단, 이후 KTEC Plus(2003년 7월 15일), Plus(2004년 1월 25일), 르까프 OZ(2006년 3월 23일), 화승 OZ(2009년 1월 31일)로 변경[1]
MBC게임 히어로2002년 8월 15일2011년 8월 31일POS로 창단, 이후 이고시스 POS(2004년 11월 5일), POS(2005년 12월 19일), MBC게임 히어로(2006년 3월 30일)로 변경[1]
위메이드 폭스2003년 6월2011년 8월 22일SG 패밀리로 창단, 이후 투나 주디스/SG(2003년 8월 11일), SG 패밀리(2004년 6월 16일),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2004년 8월 2일), 팬택 EX(2006년 4월 24일), 위메이드 EX(2007년 7월 31일), 위메이드 폭스(2007년 9월 2일)로 변경[1]
SK텔레콤 T12002년 11월 28일2016년 10월 19일동양 오리온으로 창단, 이후 4U(2003년 12월 22일), SK텔레콤 T1(2004년 4월 13일)으로 변경. 프로리그 폐지와 함께 해체[1]
KT 롤스터1999년 12월 30일2016년 10월 19일ⓝ016 온라인 프로게임단으로 창단, 이후 KTF 매직엔스(2001년 3월 21일), KT 매직엔스(2009년 6월 1일), KT 핑거붐(2009년 7월 31일), KT 롤스터(2009년 8월 25일)로 변경. 프로리그 폐지와 함께 해체[1]
삼성 갤럭시2000년 6월 9일2016년 10월 19일삼성전자 칸으로 창단, 2013년 9월 7일 삼성 갤럭시로 변경. 프로리그 폐지와 함께 해체[1]
CJ 엔투스2001년2016년 10월 19일프로슈머로 창단, 이후 게임아이 이노츠(2001년 9월), GO(2002년 4월), 슈마 GO(2003년 9월 1일), GO(2004년 9월 1일), CJ 프로게임단(2006년 4월 11일), CJ 엔투스(2006년 6월 12일), 하이트 엔투스(2010년 10월 12일), CJ 엔투스(2011년 5월 8일)로 변경. 프로리그 폐지와 함께 해체[1]
공군 ACE2007년 4월 3일2012년 10월 31일[1]
진에어 그린윙스2011년 11월 4일2020년 11월 30일제8프로게임단으로 창단, 2013년 7월 10일 진에어 그린윙스로 변경. 프로리그 폐지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참가 실패 후 e스포츠 업계 철수[1]
프라임2010년 8월 4일2015년 12월 2일[1]
MVP2010년 10월 26일2016년 10월 19일프로리그 폐지와 함께 해체[1]
아프리카 프릭스2010년 9월 14일2016년 11월 21일스타테일로 창단, 이후 스베누(2015년 4월 28일), 아프리카 프릭스(2016년 1월 23일)로 변경[1]
IM2010년 10월 1일2014년 7월 31일2012년 4월 26일 LG-IM, 2013년 8월 8일 IM으로 변경[1]


5. 역대 프로리그

2002년부터 팀 중심으로 뭉친 상태에서 팀 간 리그가 필요한 상태였다. MBC게임은 온게임넷보다 빨리 팀리그 개막을 위한 다양한 시장 조사와 실험을 시작했으며, 한 달 빠른 2003년 2월 4일 팀리그가 개막했다. 온게임넷도 팀 간 리그를 진행하기로 기획하고 2003년 3월 1일 KTF 매직엔스와 AMD 드림팀의 개막전으로 프로리그 역사의 장대한 막을 열었다.[1]

2005년, 2기 KeSPA가 출범하면서 MBC게임의 팀리그와 통합되어 KeSPA 주관으로 통합리그가 치러지게 되었다.[1] 그러나 2011년 10월 MBC 게임이 2012년 2월 1일에 음악 채널로 변경됨에 따라 중계권을 포기하면서, 2011년 11월부터는 KeSPA 주관으로 온게임넷에서만 중계권을 가지게 되어 독자적으로 치러지게 되었다.

12-13 시즌에는 SPO TV가 프로리그 중계에 참가하면서 주말 경기는 온게임넷이, 주중 경기는 SPOTV가 중계 방송을 맡았다.

2014 시즌과 2015 시즌에서는 2013년 12월 28일에 개국한 SPO TV 게임즈가 단독 중계를 맡았다.[7]

2016년 10월 18일 KeSPA는 프로리그 종료를 선언하며 프로리그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8]

2003년을 시작으로 2016년까지 21회 대회가 열렸다. 2012년 5월부터 스타크래프트 II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17번째 시즌에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와 병행했고, 18번째 시즌부터 스타크래프트 II로만 치렀다.

연도대회 명칭우승팀결승전 결과준우승팀
2012–20132012–2013 SK 플래닛 프로리그STX SouL4–2웅진 스타즈
2013–20142014 SK텔레콤 프로리그KT 롤스터4–2SK텔레콤 T1
2014–20152015 SK텔레콤 프로리그SK텔레콤 T14–2진에어 그린윙스
20162016 SK텔레콤 프로리그진에어 그린윙스4–0KT 롤스터


6. 중계권 논란

2007년 1월, KeSPA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 중계권 개념을 도입하고 중계 사업자를 공모하겠다고 발표했다. 기존 방송사들은 이에 유감을 표했다.[11] KeSPA는 IEG를 중계 사업자로 선정하고,[12] 온게임넷과 MBC게임을 상대로 협상을 벌여 3년간 중계권을 인정하는 것으로 타결했다. 이 과정에서 리그 운영이 파행을 겪어 팬들의 반발을 샀다.[13]

한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스타크래프트 중계권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것임을 시사했다.[14] KeSPA는 김영만 이사를 통해 블리자드가 한국 이스포츠 발전에 대한 노력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비판했다.[15] 블리자드는 KeSPA가 동의 없이 중계권 수익 사업을 하는 것을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16]

2011년 5월 17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와 KeSPA는 지적 재산권 문제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e스포츠 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에 합의했다.[17]

참조

[1] 웹사이트 MBCGame: In Memoriam http://www.teamliqui[...] 2012-01-31
[2] 웹사이트 스타2 프로리그 2014, 프리시즌 이벤트전 개최 http://esports.daily[...] 2013-12-11
[3] 웹사이트 StarCraft Losing in Gaming League https://www.koreatim[...] 2008-05-19
[4] 웹사이트 Blizzard – KeSPA license official http://www.teamliqui[...] 2011-05-17
[5] 웹사이트 "[SPL] Opening Day" http://www.teamliqui[...] 2012-05-20
[6] 웹사이트 Unholy Alliance http://www.teamliqui[...] 2012-12-04
[7] 웹사이트 "[스타2]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2014시즌 – 미디어데이 (+ 사진)" http://pgr21.com/pb/[...] 2013-12-14
[8] 웹사이트 KeSPA announces discontinuation of StarCraft ProLeague http://www.fomos.kr/[...] 2016-10-18
[9] 웹사이트 Proleague Media Day http://www.teamliqui[...]
[10] 문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와 병행했다.
[11] 뉴스 e스포츠도 방송 중계권 협상한다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12] 뉴스 IEG, 스타크 프로리그 중계권 확보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13] 뉴스 e스포츠 중계권 협상 타결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14] 뉴스 블리자드 차기작 '스타2' 확실 http://news.media.da[...] 뉴시스
[15] 뉴스 "한국 e스포츠 진흥 노력 무시"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16] 뉴스 블리자드 "스타크 저작권 침해 용납못해" http://www.inews24.c[...] 아이뉴스
[17] 웹사이트 블리자드-한국e스포츠협회-온게임넷-MBC게임, 스타크래프트 라이선스 계약 체결 http://www.fomos.kr/[...] 포모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